팩토1 C - 성냥개비 문제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을 키웠습니다
성냥개비 5개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은채는 71을 만들었어요
이건 배치를 해놓은 사진이에요 활용 카드 위 상단을 보시면 문제가 있어요 성냥개비를 2개를 움직여 2개의 정사각형을 만드시오 이렇게 문제가 주어진답니다
아이가 성냥개비퍼즐을 해 보면서 문제해결력도 키워나갈 수 있겠죠?
이럴 땐 어떻게 다독이며 문제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하는지 고민이 되는 시점이 찾아왔네요
#숫자퀴즈 단 하나의 것만 움직여서 아래 식이 성립하도록 해 보세요. 1+2+3139 성냥개비 문제라고 생각하고 움직여 봐도 됩니다
3개의 성냥개비를 제거하여 4개의 삼각형을 만들어 봅시다
조각의 특징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문제들이였어요!
성냥개비 숫자처럼 생긴 숫자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 하고 물었더니, 주방에서 항상 보는 전자시계! 라고 한다
상대편이 처음 만든 문제 알아맞춰보기 등등을 해보면서 순발력을 키워봅니다
초등학생 4학년 올라가는 언니는 재밌나 봐요
그랬더니 가운데 놓여있는 성.냥.개.비를 옆으로 착! 옮겨놓더라구요
우리집 초4 아들은 2학기에 다각형의 성질에 대해 배우더라구요
성냥개비 4개, 5개, 6세, 7개, 8개까지 이용하여 만든 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찾아봅니다
교구를 통한 창의사고력 수학 프로그램입니다
여행 가면 꼭 가지고 가서 놀아야겠어요
그림인지,글자인지,글자라면 숫자인지 영어인지,한글인지 등등 아무 정보도 없이 띠 하나 달랑 주니 전혀 감도 안 잡히는 문제다
키작은 피터는 그녀에게 어떻게 관심을 끌지. 주변에 도구들을 살펴보죠
성냥개비퍼즐을 이용하여 다양한 활용을 하다 보니까 좋습니다
정답은 이웃신청하시면 보실 수 있답니다
상위권연산 960의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4개를 움직여서 완성해 내고는 물고기 다 먹어서 가시만 남았다며 깔깔깔 넘 재미있어 하네요
노란색은 도형이 살짝 커서 틀 안에 안 들어가요
저 보다 열린사고를 가진 아이라 문제 해결력이 좋아요 우와 어찌 이런 생각을 해낸거냐며 폭풍칭찬과 궁디 팡팡해주면 아이도 더 신나서 성냥개비 퍼즐에 푹 빠지더라구요
문제적 남자 성냥개비 문제입니다. 저도 참.성냥개비 문제 힘들어 하 는데요
퍼즐리아 원목 성냥개비 퍼즐에서는 연산문제도 여러개 있어서 저학년 아이들 연산에도 도움이 되겠더라구요
활용카드가 있어서 아이들 창의력과 사고력 키워주기 좋아서 두뇌도 건강해지겠더라구요
지난 6월 기탄사고력교실 교구는 #성냥개비 퍼즐과 #펜토미노 퍼즐 이었습니다
카드는 총 55장으로 성냥개 퍼즐문제가 55문제가 들어있는거고 난이도별로 구분을 해놨답니다. 창의교구 퍼즐리아 성냥개비 퍼즐로 놀이하며 재미있는문제 머리쓰는문제 어이없는 문제등 다양한 문제들을 접할수있어요
물고기를 만들더니.또 바로 감이 왔다네요! 푸는모습 동영상으로 찍을 시간도 없이. 뚝딱 . 금방 금방 되니 기분 좋은것 같아요. 아이들에게 성취감을 줄수 있는 퍼즐리아 학습교구에요
안 그랬으면 분명 엄마, 이건 어떻게 풀어?하고 질문했을지도 몰라요
개방제 문제 계속 풀면 잘 할 수 있을까요,,,그래도 계속 시도해봐야겠죠
실제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주요 활동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나저나 성냥개비 문제는 도형의 영역인줄 알았는데 논리와 규칙의 영역이란걸 1031보면서 알게됬다
성냥개비 3개 를 움직여 식을 성립시켜 보세요
정사각형의 정의를 잘 몰라, 아이에게 설명해주었어요. 곰곰히 생각하더니 얼추 비슷하게 저렇게 만들어 놓았어요. 성냥개비 하나가 나와있기에 물론, 정답은 아니지만, 그래도 비슷하게 문제를 풀었다는게 정말 대견스럽더라구요
우리 루카스 을 거울에 비친 모습으로 써요
물론 창의 사고력 팩토 수학 문제집에서도 가르기 모으기가 나오는 부분은 그냥 슥슥 풀어버렸답니다
최상위수학S 로 시작한 초등수학 심화과정. 학습 스케쥴표를 보니 절반정도 잔행된것 같네요 간만에 학습스케쥴표 올려봐요
알록달록 아이들이 좋아하는 색으로 예쁘게 만들어 주었네요
언니들이 동화그림을 보면서 구연동화를 차례대로 해 봅니다
바로 80일간의 세계일주에 나오는 이야기지요
전현무의 문제는 고리 문제다.각 고리와 정답으로 도출된 숫자의 연관성을 찾아내 문제에서 주어진 다른 고리들의 숫자를 맞추는 문제다
Comments (12)











